2025-11-11

헤이팝X흑유재 ‘2025 SDF’에서 만납니다

오직 헤이팝 부스에서만 만날 수 있는 이벤트 3
〈2025 서울디자인페스티벌〉에 팝업·공간 전문 플랫폼 헤이팝이 참여한다. F&B 브랜드 흑유재와 협업해 경험의 영역을 한층 넓힌 것이 특징이다. 이번 〈2025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은 11월 12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코엑스 3층 Hall C에서 열린다.
〈2025 마곡리빙디자인페스티벌〉에 참여한 헤이팝 부스 전경 ⓒ헤이팝

헤이팝이 ‘2025 SDF’에 참여합니다

〈2025 마곡리빙디자인페스티벌〉에 참여한 헤이팝 부스 ⓒ헤이팝

국내 최대 규모의 디자인 축제인 〈2025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올해로 24회를 맞는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은 국내외 디자인 흐름을 이끄는 브랜드와 디자이너들이 한데 모이는 자리이다. 이번에는 헤이팝도 참여한다. 지난 9월, 〈2025 마곡리빙디자인페어〉에서 관람객들을 만난 이후, 약 2개월 만이다. 헤이팝은 도심 속 뉴스가 모이는 신문 가판대를 콘셉트로 한 ‘헤이팝 스탠드’를 선보였다. 추천 브랜드를 소개하는 신문형 리플렛과 스탬프 투어를 통해 전시 동선을 제안했고, 많은 관람객이 헤이팝 부스를 안내소처럼 활용했다.

 

〈2025 서울디자인페스티벌〉 역시 동일한 콘셉트를 유지하는 동시에 리워드 확대와 브랜드 협업으로 경험의 영역을 확장했다. 가장 큰 특징은 F&B 브랜드 ‘흑유재’와의 컬래버레이션이다. 제철 재료와 로컬 문화를 담은 K-디저트를 선보이고 있는 흑유재와의 만남은 새로운 트렌드를 추구하고, 감각적 소비를 지향하는 헤이팝 독자들에게도 좋은 반응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억에 남는 한 입, 흑유재

흑유재 외관 ⓒ흑유재

경기도 양평 개군면에 자리한 흑유재는 지역의 재료와 풍경을 다과와 음료로 풀어내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공간 역시 양평을 가로지르는 ‘흑천’의 색과 흐름에서 모티프를 가져왔다. 1층은 물 아래 고요한 감각을, 2층은 수면 위로 드러나는 채광과 여유를 중심에 뒀다. 아버지가 지은 20년 된 한옥 건물을 미술 작가인 딸이 새로 구성해 전통과 현대가 자연스럽게 공존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졌다.

(좌) 흑유재에서 판매하는 열 가지 맛 양갱 (우) 협업 혹은 특별한 기념일에 제작하는 양갱 ⓒ흑유재

흑유재의 시그니처는 수제 양갱이다.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재료의 맛과 향, 한입 크기로 설계된 형태는 ‘맛을 통해 하나의 장소를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라는 질문으로 이어진다. 설탕의 단맛을 강조하기보다 재료 고유의 풍미가 선명하게 남도록 하는 조리 방식도 같은 태도에서 출발한다. 강한 자극 없이도 여운에 남는 맛, 즉 지역과 시간의 결이 음미되는 맛을 지향한다.

(좌)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건립 30주년 기획전 오프닝 다과 (우) 공간디자인페어에 참여한 흑유재

흑유재는 다양한 행사와 문화 프로그램에서도 이 같은 접근을 유지해 왔다. 키아프 서울, 크래프트서울 등 페어는 물론 공예 전시, 지역 축제 등 다양한 행사에 참여하며 그 분위기에 맞춘 구성을 제안해 왔다. 양평에서 열린 ‘지평 우리 밀 축제’에서는 밀싹슈페너와 밀싹유자아이스티를, 양평군이 주관하는 ‘양평군 헬스투어’를 위해 개군면 특산물인 산수유를 활용한 양갱을 제공하는 식이다. 하나의 메뉴를 반복적으로 재현하기보다 목적과 환경에 따라 레시피와 연출을 조정하는 유연함이 흑유재의 차별점이다.

경험의 확장, 헤이팝X흑유재

〈2025 서울디자인페스티벌〉 카페테리아로 참여하는 흑유재는 헤이팝을 위한 한정판 다과를 제작했다. 제주 한라봉의 산뜻한 향과 은은한 단맛을 살린 수제 양갱으로 헤이팝 시그니처 컬러인 오렌지 색상이 포인트다. 함께 선보이는 콜드브루 역시 양갱의 질감과 향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번 페스티벌에서만 만날 수 있는 ‘헤이팝X흑유재 수제 양갱’은 별도로 판매하지 않고, 오직 이벤트를 통해서만 받을 수 있다.

헤이팝 부스에서 전 채널 구독 인증시 100% 당첨 복권을 증정한다 ⓒ헤이팝

헤이팝 부스에서 마련한 이벤트는 총 세 가지다. 먼저 헤이팝 앱을 다운로드한 관람객에게는 페어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은 타폴린 백을 증정한다. 지난 마곡 페어에서 가장 먼저 소진된 굿즈로, 이번에도 빠른 품절이 예상된다. 헤이팝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면 포춘쿠키를 받을 수 있다. 쿠키 속에는 ‘2025 SEOUL DESIGN SPOT’ 중 지금의 나에게 행운을 전해줄 공간이 적혀 있어 더욱 의미가 깊다. 마지막으로 헤이팝 전 채널(앱· 인스타그램·뉴스레터)을 구독한 이들에게는 ‘100% 당첨 복권’을 증정한다. 복권에는 앞서 언급한 수제 양갱과 콜드브루를 비롯해 2026 SLDF 티켓 등 다양한 선물이 담겨 있으며, 특히 〈2025 서울디자인페스티벌〉 추천 브랜드 제품들도 포함되어 있어 이벤트 참여의 의미를 더했다. 헤이팝이 추천하는 브랜드 리스트는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김기수 기자

자료 제공 2025 SDF, 흑유재

프로젝트
제24회 서울디자인페스티벌
장소
서울 코엑스 3층 Hall C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513
일자
2025.11.12 - 2025.11.16
시간
수요일 - 토요일 10:30 - 18:30
일요일 10:30 - 17:00
주최
㈜디자인하우스
주관
월간 〈디자인〉
링크
홈페이지
김기수
아름다운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믿는 음주가무 애호가

콘텐츠가 유용하셨나요?

0.0

Discover More
헤이팝X흑유재 ‘2025 SDF’에서 만납니다

SHARE

공유 창 닫기
주소 복사